Responsive Advertisement
슬기로운 생활정보
슬기로운 생활정보
생활정보, 정부지원금 등 실생활에 바로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.

“아빠도 당당하게!” 2025년 육아휴직 아빠 보너스제 총정리

2025년부터 바뀌는 육아휴직 아빠 보너스제! 월 최대 300만 원 지급과 사용 기준, 신청 조건까지 완벽 정리된 최신 정보 포스팅

✨ 이제 아빠도 '육아휴직' 고민 없는 시대“육아는 엄마만의 일이 아니잖아요.”

아빠가 육아휴직을 신청하면, 회사 분위기 눈치 보이고, 급여 걱정에 쉽게 결정을 못하던 시대는 지나가고 있습니다.

2025년부터 ‘아빠 보너스제’의 지원금 상한이 확대되며
두 번째 사용자의 급여 보장 수준이 높아졌고, 육아에 참여하는 남성 육아휴직자 수도 급증하고 있습니다.

2025년 육아휴직 아빠보너스제 설명

📌 육아휴직 아빠 보너스제란?

동일 자녀에 대해 부부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,
두 번째 사용자(주로 아빠)에게 1~3개월 간 급여를 상향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
  • 기존에는 최대 월 250만 원 한도

  • 2024년 이후 변경: 상한액 250만 원 → 300만 원으로 인상

  • 국민연금공단을 통해 신청 가능


💰 2025년 변경된 육아휴직 급여 체계표

구분 지급 기간 급여율 월 최대 지급액
1차 사용자 1~3개월 통상임금의 80% 최대 150만 원
2차 사용자 (아빠) 1~3개월 (보너스 적용) 통상임금의 100% 최대 300만 원
공통 4개월 이후 통상임금의 50% 최대 120만 원

✅ 육아휴직 사용 기준 요약

항목 내용
대상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
사용 조건 부부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, 두 번째 사용자가 대상
근속 요건 육아휴직 신청 전 해당 사업장에서 6개월 이상 근무
신청 기한 자녀의 만 8세 생일 전 또는 초등학교 2학년 2학기까지
중복 사용 불가 부부가 동시에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, 반드시 순차 사용

📥육아휴직제도 안내서 다운로드

📘 육아휴직 급여 기준인 '통상임금'이란?

육아휴직 급여는 "통상임금의 일정 비율"로 계산됩니다.
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‘통상임금’이란 정확히 무엇일까요?

통상임금이란?
근로자에게 정기적·일률적·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을 말하며,
기본급 + 고정수당(식대, 교통비 등)을 포함합니다.

예시로 보는 통상임금 계산

항목 금액
기본급 2,500,000원
고정 식대 수당 100,000원
고정 교통비 수당 50,000원
총 통상임금 2,650,000원
성과급, 초과근로수당, 상여금 등은 통상임금에서 제외됩니다
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아빠가 먼저 육아휴직 쓰면 보너스 못 받나요?
A. 네, 두 번째 사용자가 보너스 대상입니다. 

Q2. 소득이 적으면 보너스 월 300만 원 다 받을 수 있나요?
A. 실제 통상임금 100%를 기준으로 최대 300만 원 한도 내에서 지급됩니다.

Q3. 아빠 보너스제는 몇 번까지 받을 수 있나요?
A. 자녀 1명당 1회 적용되며, 부부가 나눠서 쓴 경우 두 번째 사용자만 해당됩니다.

Q4. 육아휴직 중 회사에서 연락이 오면 대응해야 하나요?
A. 의무는 없지만, 사내 규정 등을 확인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.

Q5. 프리랜서도 신청 가능할까요?
A.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만 신청 가능, 자영업자·프리랜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.

📌 육아휴직 급여 신청 바로가기